손목터널증후군이란 손목 앞쪽의 수근관이 좁아지면서 정중신경이 눌리고,
이에 정중신경 지배영역에 이상 증세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다른 말로는 수근터널증후군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요.
여성이 남성보다 약 5배 정도 많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30~60대 사이에서 쉽게 발견됩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은 일반적으로 갑자기 손목 통증을 느끼게 되거나 힘이 빠지게 됩니다.
평상시에 들리지 않던 소리가 손목에서 들리게 되며, 간단한 행동에 제한이 걸리게 되는데요.
손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거나 관절을 장시간 굽히고,
편 상태를 유지할 때에도 감각 장애가 심각해집니다.
무엇보다 증상이 심해질 경우, 손목인대가 늘어났을 때의 증상이 동반됩니다.
엄지와 둘째 손가락, 셋째 손가락이 저리고 무감각해지는 일이 흔해지게 되는데,
갑자기 통증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넓게는 어깨 통증까지 호소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발생 원인이나 유발인자는 알려져있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어떠한 상황이 정중신경을 압박하여 저림,
통증을 가져오고, 나아가 마비를 유발하는 것으로 추측될 뿐인데요.
최근에는 반복적인 가사노동이나 컴퓨터, 스마트폰의 사용이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고 합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을 알아보는 가장 쉬운 방법은 손목 관절을
약 60초 정도 굽히고 있도록 하는 팔렌검사가 있습니다.
이 검사를 통해 정중신경 부위에 뻐근함이나 무감각이 느껴지거나
손목 관절에 있는 정중신경 부위를 압박했을 때 통증, 혹은 저림 증상이 나타나면 의심해볼 만 합니다.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운동입니다.
반복적인 손목의 사용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관심을 기울여 주기적으로 하는 것이 좋은데요.
손목 주름의 중앙에서 팔꿈치 쪽으로 손가락 세 개 너비 정도 되는 위치를 가볍게 눌러주는 방법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운동으로도 증상이 완화되지 않는다면 제대로 된 치료를 받는 것을 권장합니다.
외과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로 나눠볼 수 있는데, 자세한 검진을 통해 올바른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건강메디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턱관절 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 (0) | 2018.09.27 |
---|---|
발목을 접질렀을 때 (0) | 2018.09.20 |
척추, 관절에 좋은 운동 알아봐요 (0) | 2018.09.13 |
환절기에 할 수 있는 운동 방법 (0) | 2018.09.06 |
면역력을 높이는 제철 음식을 알아봐요 (0) | 2018.09.04 |